티스토리 뷰



작년에 있었던 것 같은 어떤 일이 날짜를 확인해보면 실제로는 2019년에 일어난 경우가 더러 있다. 기억이 2019년에서 2021년으로 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내 삶 속에서도 2020년의 존재감이 희미하다는 것을 근래 자주 깨닫고 있다. 시간은 추상적인 개념일 뿐이며 실제로 경험한 사건들의 기억을 통해서만 시간이 기억 속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 일 년 가까이 가지 못한 곳, 만나지 못한 사람, 하지 못한 것들이 떠오른다. 그런 부재가 삶의 흐름을 끊고 분명히 존재했던 시간을 기억에서 지운다.

그 부재 가운데 내게 크게 다가오는 것을 하나 꼽는다면 연극, 발레 등을 보러 다니던 문화생활의 중단이다. 사람들마다 각자 다른 모습으로 이 시기를 지나가고 있을 텐데 시급한 문제가 쌓여 있는 다른 곳에 비하면 일반인의 문화생활이야 우선순위에서 저 뒤 쯤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보다 시급하고 절박한 일들이 먼저 잘 해결되기를 조용히 기다리면서, 언젠가 다시 사람들로 북적일 그러나 지금은 오랫동안 인적이 줄어 적막해진 극장이라는 저 장소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려 한다.

극장이라는 공간

한국에 공연을 위한 근대적 공간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를 거슬러올라가면 멀리는 대한제국 시대 원각사를 언급할 수 있겠고, 대도시에 자리하면서 대규모 관중을 모을 수 있는 근대적 공간으로 본격적인 것으로는 오늘날 세종문화회관 자리에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경성부 부민관을 들어야 할 것 같다. 해방 이후 부민관은 이승만의 호를 딴 우남회관 시절 및 전쟁을 거치며 세종문화회관으로 다시 태어난다. 3공화국 시절에는 남산 자락에 새로이 국립극장이 들어섰다.

그러나 공연을 위한 하드웨어 확보와 함께 반드시 뒤따라야 하는 것이 문화를 향유할 계층의 형성인데 여기엔 좀 더 시간이 필요했던 것 같다. 이 나라에 오페라, 발레, 오케스트라 연주 등을 위한 본격적인 공연시절이 들어선 것은 1980년대 서울 서초구 우면산 기슭에 예술의전당을 세우면서부터였다. 3저 호황의 붐을 타고 1000달러대의 국민소득이 단숨에 2000달러대로 뛰어올라간 그 시대부터 일반 시민이 문화생활을 누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소득, 여가가 갖추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은 필요조건일 뿐, 공연장을 일반대중이 친숙하게 여기고 편안하게 드나들 수 있는 충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무엇이 더 필요하였을까?

판데믹이 덥치기 전까지 주요공연마다 사람이 밀려들던 모습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물리적인 현실이었다. 손에 분명히 잡히는 물리적 현상의 원인을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가, 교육을 통한 예술적 교양의 보급 등과 같은 추상적인 단어의 나열로 답하는 것은 현실 속에서 실제로 작동한 연결고리를 놓치게 할 수 있다.

미리 내가 생각하는 답을 말한다면 주저하던 대중이 공연장으로 갈 수 있도록 해 준 것은 아마도 ‘옷’일 것이다. 아무 옷이 아니라 ‘남 같은’옷, ‘꿀리지 않는’옷. 여기서 옷이란 단어 그대로 옷이기도 하고, 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은유로서의 옷이기도 하다.

(계속)



일제강점기 경성부 부민관
장충동 국립극장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당 기공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